Space Gardening 공간원예

Jun 12, 2014 – Jul 11, 2014

참여작가

김도균 KDK (Dokyun KIM)
이지연 Lee Jiyeon
전가영 Jun Gayoung

기획

정소라 Jung Sola

 시각예술은 기본적으로 공간예술이다. 현대미술에서 시각예술은 예술가들의 여러 시도 속에서 시간예술로도 변모했지만, 모든 작품은 공간 속에 놓이고, 놓인 그 장소에서 관람자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전시’란 작품과 관람자 사이에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시는 꽃이나 농작물을 가꾸고 돌보는 것처럼, 공간에 대한 면밀한 연구와 깊은 애정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공간은 전시와 작품의 존재 요건이지만, 동시에 작품의 주요 소재이기도 하다. 오래 전부터 예술가들은 공간 그 자체에 주목하여왔다. 이번 <공간원예>에 참여하는 작가들 역시 각자 다른 방식이지만 모두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 회화, 드로잉, 설치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들이 소개될 이번 전시에서는 공간의 재해석, 체험 공간에서 추상적 공간으로의 전환, 공간 개념의 구현 등을 만날 수 있다.

이번에 전시되는 김도균의 작품들은 지금까지의 여러 시리즈 중 w 시리즈에 속하는 작품들이다. 그는 a, f, lu, sf 등 계속해서 알파벳 시리즈를 발표하면서 그의 작품 세계를 넓혀오고 있다. wall, wrinkle, white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w 시리즈는 일상적 공간의 한 부분을 포착함으로써 그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사진의 대상은 흰 벽의 천장 모서리, 맞물려지는 틈 등 건축 내부의 부분들이다. 주체의 시선으로부터 잊히고 버려졌다고 할 수 있는 이들 공간은 작가의 관점으로 재해석된다.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으로 보이는 이미지들은 작가의 해석과 관람자의 시선이 합쳐지면서 새로운 공간으로 탄생된다. 작가는 결코 균질적이거나 중성적일 수 없는 공간을 미니멀하게 담아냈고, 이것을 바라보는 관람자는 자신의 개인적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그 이미지들을 자유롭게 해석한다. 어떻게 보면, 작가는 관람자의 시선이 줌-인(zoom in)을 하듯 주변부로 떠밀려졌던 공간을 끌어당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공간의 숨겨져 있던 미학적 요소들은 드러나게 된다.

이지연에게 있어 공간은 기억을 불러내는 매개체였다. 오래된 기억은 어떤 공간에 대한 경험으로 남겨져 있기에 그것을 가느다란 라인테이프와 파스텔톤의 색으로 형상화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렇게 형상화된 이미지들은 현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낯선 공간이다. 어차피 기억의 완벽한 재현은 불가능한 것이고 또한 하나의 공간에 대한 기억 역시 단일하지 않기에 작가가 구현해내 공간은 이질적일 수밖에 없다. 현실적 공간과 장소에 대한 기억에서 시작된 이지연의 작업은 이차원의 평면으로 전환되면서 기하학적인 것이 되어버린다. 기둥, 계단, 문, 천장, 벽 그리고 모서리 등 익숙한 건축적 요소들을 흥미롭게 한 화면 안에 배치하여 실제의 공간 저 너머의 세계를 보여준다. 작가는 점점 더 공간 개념 그 자체를 연구하면서 실제의 공간으로 향하는데, 현재는 공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설치작업을 통해 공간 속에 실현 해내고자 한다.

전가영의 작품은 일종의 순환 구조 속에 놓여 있다. 먼저 공간 속에 질서를 만들고, 그 질서를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형성된 관계는 형태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형태는 그 자체가 곧 공간이 된다. 여기서 공간은 작품의 시작점이자 결과물이다. 먼저 입체작품의 경우, 한지로 만든 LED조명은 공간 속에 빛과 색을 균질적으로 퍼트리고 공간 속 다른 사물 그리고 관람자와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공간에 개입하고 또 다른 공간을 만들어낸다. 그의 드로잉에서 발견하게 되는 공간은 입체 작품에서의 공간보다 좀 더 추상적이다. ‘가영드로잉’으로 이름 붙여진 그의 작품은 ‘스펙트럼 드로잉 망’과 ‘스펙트럼 드로잉 체크’로 나뉜다. 촘촘히 연결된 망처럼 곡선으로 이루어진 드로잉과 직선의 교차로 이루어진 드로잉은 섬세한 작가의 손길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 선들의 집합은 어떤 것의 규칙적인 반복으로 만들어진 질서화된 형태이며 여기에는 다양한 관계가 존재한다. 하나의 세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과 인간 간의, 인간과 자연 간의 또는 문화와 문화 간의 관계를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우리는 그의 작품에서 개념적인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공간원예>에 참여하는 세 명의 작가는 공간이 지닌 비밀스러운 특성을 개념적으로 또는 감각적으로 접근하면서 흥미로운 결과물들을 관람자에게 선사한다. 공간은 시간과 함께 이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적 요소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시간과 공간을 양대 축으로 하여 존재하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공간에 대한 예술가들의 관심과 연구는 지속될 것이며 우리는 그 예술적 감성의 결과물을 계속해서 기대해 보아도 좋을 듯하다.

정소라 (독립큐레이터, 미술평론)

Visual art is basically that of space. Though visual art has also been transformed to that of time with artists’ various attempts in modern art, all works are located in space and in that very space, they encounter appreciators. In that sense, ‘exhibition’ can be called to establish space between the work and the appreciator. Exhibition, therefore, requires close study and deep affection on space as growing and looking after flowers or crops. Thus, space is a prerequisite for exhibition and work but it also serves as a major material for works at the same time. Artists have been focusing on space itself for a long time. All the artists who participate in this tell us about space even if they express themselves in different ways. This exhibition is to display works with various media formats including photography, painting, drawing and installation and you can see reinterpretation of space; shift from experiencing space to abstract one; realization of spatial concept, etc.

Dogyun Kim’s works this time are included in the w series among his various series so far. Presenting alphabet series continuously with a, f, lu, sf etc., he has expanded the world of his works. The w series with multiple meanings of wall, wrinkle, white and so on capture one part of daily space and then give new meaning on that space. Objects of photography are the inside of a building like an edge at ceiling of white wall and a meshing area. These spaces which can be considered as forgotten and abandoned from one’s perspective are reinterpreted with the artist’s view. Images that seem abstract and geometric are born as new space with the artist’s interpretation and appreciators’ gaze being combined. The artist expresses space that cannot ever be homogenous or neutral in a minimal manner and appreciators for his work freely interpret those images based on their personal memories and experiences. In some sense, the artist allows appreciators’ eyes to pull the space which used to be pushed to the margin as if they zoomed in. As a result, aesthetic elements hidden in space come to the surface.

Space has been the media for Jiyeon Lee to recall memories. As her old memories are left as experience for certain space, she started to give them a shape with thin line tape in pastel colors. Images formed this way, however, are strange space which does not exist anywhere in reality. Because memories cannot be perfectly reproduced and memories onto one space are not coherent either, the space which the artist realizes cannot but be heterogeneous. Jiyeon Lee’s works starting from memories on realistic space and place become geometric as transformed to a two-dimensional plane. Through intriguingly arranging familiar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pillar, stairs, door, ceiling, wall and edge on one canvas, she shows us world beyond the real space. Studying the spatial concept more in depth, the artist heads for the real space and she now tries to realize the abstract concept of space through and within installation work.

Gayoung Jeon’s works are put in a sort of circulating structure. First, one order is formed in space, a rela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at order and the established relation makes a shape. The shape itself becomes the space. The space here is both beginning and output of work. In case of three-dimensional work, LED light made with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handmade from mulberry trees) evenly disperses light and color within the space and tries making a relation with other objects in space and with appreciators. A new space is made through intervention in the space. Space discovered from her drawings is more abstract than one in three-dimensional works. Titled as ‘Gayoung Drawing,’ her works are classified into ‘spectrum drawing net’ and ‘spectrum drawing check.’ We can feel the artist’s delicacy in her drawings which are composed with curves or straight lines being crossed like a fine net. The combination of these lines is an orderly shape made out of something’s regular repetition and there exist diverse relations. It reminds of relations between people, cultures and between man and nature which are formed in one world. Thus, we can recognize conceptual space with her works.

Three artists participating in approach secret characteristics of space in a conceptual or sensible way and show their interesting outcomes to appreciators. Space, along with time, is a significant and conceptual element to understand the world. It is because the world where we live exists for two axes of time and space. Artists’ attention and study on space are to be continued and I think it is worth expecting future outcomes from their artistic sensibility.

Jung Sola (Independent Curator, Art Critic)

Relative Artist

이지연 Lee Jiyeon

이지연 Jiyeon Lee 이지연 Lee Jiyeon 기억을 그리다#1-8612 2011 Acrylic and line-tape on canvas 53×33.4cm이지연 Lee Jiyeon 기억을 그리다#1-2923 2011 Acrylic and line on canvas 77×49cm이지연 Lee Jiyeon 공간을 헤매다 2013 Acrylic and line-tape on canvas 25×65.5cm(each)이지연 Lee Jiyeon 공간을 헤매다 2013 Acrylic and line-tape on canvas 116.5×91cm이지연 Lee Jiyeon 공간을 헤매다 2013 Acrylic and …

김도균 Kim Dokyun KDK

김도균 KDK (Kim Dokyun) 김도균 Kim Dokyun KDK w.pl-66 2011 C-Print, Mounted on plexiglas, wooden framed 100×78cm김도균 Kim Dokyun KDK w.pl-08 2011 C-Print, Mounted on plexiglas, wooden framed 100×78cm김도균 Kim Dokyun KDK w.pl-03 2011 C-Print, Mounted on plexiglas, wooden framed 100×78cm김도균 Kim Dokyun KDKlu.ssd-01_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_70x90cm_2010김도균 Kim Dokyun KDKlu.ssd-11_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_70x90cm_2010 …

전가영 Jun Gayoung

전가영 Jun Gayoung 전가영 Jun Gayoung Spectrum.drawing 2012 Pen on paper 54.7×40cm전가영 Jun Gayoung Spectrum.drawing 2012 Pen on paper 54.7×40cm전가영 Jun Gayoung Spectrum.drawing 2012 Pen on paper 54.7×40cm전가영 Jun Gayoung Spectrum.drawing Colorpen on graph_paper 100×100×100cm전가영 Jun Gayoung Spectrum.drawing 2015 반사시트 위 프린트 120×90cm전가영 Jun Gayoung Spectrum.drawing 2015 반사시트 위 프린트 120×90cm 이전 다음 CV 전가영(Kor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