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y Home

Dec 22, 2015 – Jan 22, 2016

김소희 Kim Sohee

press

부드러움으로 위장한 부조리 – 김소희의 근작을 논하다.
일상의 절실한 순간을 표현하고자 동판을 니들로 긁고 있노라면, 무의식 중에 그 손끝으로부터 절로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작가의 표현을 빌자면, “이렇게 탄생한 이미지들은 어째서인가 영문 모를 웃음의 냄새가 난다” – 작가의 제작노트는 이에 대한 소박하지만 근원적인 의문을 가지고 시작된다.

‘웃음’이라고는 하나,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웃음은 본능적으로 튀어나오는 그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도리어 이성적인 웃음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가 말하기를, ‘우리가 인지하는 웃음의 요소란, 높은 이상을 품는 것도 아니요, 하늘 위에 있어 손이 닿지 않는 귀한 것도 아니요, 오직 우리 주변과 일상 곳곳에 숨어있는 것임을 누구나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웃음이란 껄껄대는 소리나 몸의 반응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마음을 간지럽히는 감성과 해학의 정신임을 강조하고 싶다’-이것이 바로 날카로운 감성을 가진 김소희의 웃음에 대한 입장인 것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작가의 현대 사회에 대한 ‘웃음’ 코드가(특히 사회비판과 풍자적인 요소가) 작품 속에서 보일 듯 말 듯 숨바꼭질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과한 학업 스케쥴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통통하게 살이 오른 여학생 여러명이 마치 계란인 양 계란판에 들어가 있는 유머러스한 작품을 보자. 과연 이 작품이 시사하는 바가 가혹한 입시제도에 대한 비판과 풍자인가? 그러기에는 그 신랄함의 정도가 너무 약한게 아닐까? 작가가 논문에서 현대 프랑스 대표 풍자화가인 클로드 세르를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작품속 상황에 대해 좀더 날카로운 지적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작가는 이 부분에 대해 확고한 주관을 가지고 있었다. 본인이 그려내고자 하는 웃음은 ‘자신이 처한 부조리를 객관적으로 바라봄으로써 현실과 정직하게 마주보고, 이윽고 그 부조리를 극복해내는 힘’ 이라는 것이다. 사실 우리는 삶 구석구석에서 부조리와 자주 대면한다는 사실에 반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논리적인 부분은 잠시 뒤로하고, 작품의 완성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작가의 은사인 渡辺達正 와타나베 타츠마사는 김소희에 대해 ‘판화용지와 안피지 사이에 색한지를 끼워넣는’ 독자적인 에칭 프린팅 기법을 구사하여 하나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주목할 만한 ‘화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굳이 ‘판화가’라고 일컫지 않는 이유는, 그녀의 페인팅 작품에서도 판화 특유의 독특한 풍미가 느껴져서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이다. 섬세하고 부드러운 에칭이 매력적인 판화와 매끈한 느낌의 페인팅 ‘Way Home’ 두 작품을 비교해보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질 것이다. 보는 것만으로도 실로 즐거워지는, 감각적인 비교일 것이므로.

여행가방 안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작품에는 어떤 부조리가 있는 것일까? 또한 사람들이 옷걸이에 걸린 듯 보이기도 하고, 아니면 세탁소에 걸린 옷들 사이로 젊은 여성이 머리를 들이밀고 있는 듯 보이는 작품 ‘Interruption’은 어떠한가? 이 작품들 안에는 이미 ‘웃음’에 대한 코드는 찾아볼 수 없고, 마치 수수께끼와도 같은 의문들만 맴돌고 있다. 젊은 여성들이 대롱대롱 매달린 회전목마의 작품에서도, ‘운명’에 농락당하는 인간존재의 나약함만이 드러난다고도 할 수 없겠다. 이런 이슈를 던지기에는 뭐랄까, 작품 분위기가 너무나 평온하고 차분한 느낌이다. 또한 어둠 속으로 머리를 들이미는 모습을 그린 작품들도 있지만, 이것은 사회와 소통함을 거부하는 현대인들의 내향적인 심리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풍자화인가? 보는 사람마다 의견이 제각각이겠으나, 분명한 것은 작품 전체에 흐르는 주제는 일괄되게 ‘우리 삶 속 부조리’라는 것이며, 그것이 숨바꼭질하듯 보일 듯 안 보일 듯하다는 것이다.

이번 출품작들 중 필자가 가장 흥미롭고 유쾌하게 봤던 작품들은, 주인과 반려동물과의 관계를 뒤집은 ‘My pet’ 시리즈이다. 이것이야말로 보기만해도 키득키득 웃음이 새어 나온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웃음이 나옴과 동시에 자기 비판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예컨데 내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건지, 내가 그들의 집사가 되는 건지 모를 부조리한 상황들을 역설적으로 표출시키고 있는 부분에 공감대가 형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서로의 관계에 대한 양면성을 이렇듯 부드럽고 우아하게 표현하는 화가가 또 있을까? 김소희는 부조리, 아름답고 부드러운 부조리를 그려내는 화가이다.

모토에 쿠니오 (타마미술대학교수)

The Soft Absurdity
In that her artworks possess a distinguished image of their own, Kim Sohee is an artist salient in the eye of the viewer. Through the needle she commands over bronze, Kim aims to depict the desperate realities of everyday life- the image that instinctively occurs from her fingertips exudes, in her own words, ‘a scent of laughter that (for some reason) cannot be fully explained’.

Her work stems from the question ‘Why and what is it that causes us to laugh?’ Even the most instinctive and spontaneous form of laughter, says Kim, is rational.  Again in her own words, ‘We are already aware of the fact that the elements comprising laughter are neither particularly solemn, like the ātma-saṃjñā(notion of one-self, Buddhist terms), nor preciously hidden above in the heavens. Rather, they remain implicit in our everyday lives…… I’d like to keep it clear that the meaning of laughter(humor) should not be limited to merely the act of laughing out loud, but a compilation of heart-tickling sentiments and our perceptions of the queer phenomena surrounding ourselves.’-this is the basic stance of Kim Sohee, a possessor of surely the most keen sensibility.

What was most interesting the first time I looked upon her works was that Kim’s insights on the mechanism of laughter and her satirical portrayals of society were molded very subtly into her works. One of her works, displaying plump and overweight high school girls due to an excessive amount of exam stress and lack of exercise packed up in an egg box, would be an appropriately humorous example. One would see it as harsh criticism or sarcasm on the national college entry system, but another would say it rather lacks poignancy to be classified as full-fledged social satire. Because she even took to mentioning Claude Serre, a poignant satirical artist of modern France, in her thesis, I couldn’t help myself from thinking that a more acute form of satire on this situation should have taken place.

But Kim has a decent explanation on this matter. She concludes that the laughter she wishes to depict is ‘the power to transcend reality by objectively reflecting on one’s own absurdities.’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real world is indeed full of absurdities-there’s no room for objections in this argument, for sure.

But the point of discussion here is not the logic involved, but how complete it is as a piece of art. Just as her teacher, Watanabe Tatsumasa acclaims, Kim is an artist who opens up new realms of printing with her own style of etching. Though her works in print are praiseworthy, it would seem unfair to label her solely as a print artist. Her paintings are also worthy of note in that they carry a unique flavor derived from print. A fitting example from this exhibit can be found in comparing the soft, delicately engraved etchings and [Way Home], a work comprised of two smooth, glossy oil paintings. The comparison is an incredibly sensuous one, bringing joy to any pair of eyes that sets sight upon the two works.

But let us leave that point behind for another day; it is time we bring the focus of debate closer in on her actual works. To what extent do her carrier bags manage to portray the ‘absurdities’ in the life of modern day man’? What about in [Interruption], where a young woman on her knees seems to be sticking her head between coats at the dry cleaner’s? Should these coats be taken for nothing more than what they appear to be? In that case, could they not be seen as different forms of numerous pedestrians? What’s clear to say for this piece of art is that the ‘laughter’ involved has long gone, leaving behind only the vague impression of an odd riddle. Likewise, one cannot unilaterally conclude that [Merry Go Round], where young women spin around hanging from a merry go round, draws solely on the cold-heartedness of human existence and fate. Everything is far too silent, far too calm for that. Her series of works with figures pushing their heads into darkness furthers this discussion. Could they not be symbolizing the introverted actions of modern day man, who constantly avoids confrontation with society?

The most interesting and delightful piece in this exhibition would certainly be the [My Pet] series, where the roles of pet and owner are reversed. It’s the kind that draws quite a few chuckles from the audience without their own noticing. Some will even take the time to self-criticize. Both pet and owner are trapped in some kind of absurdity, though it may not be a particularly severe one. One may question himself on whether it is a pet that I own, or a pet that I serve. As far as I know, there is no such artist equivalent to Kim Sohee when it comes to expressing such contradictory relationships in such a tender, elegant way. Kim Sohee is an artist who draws on absurdities- gentle absurdities, to say.

Motoe Kunio

Relative Artist

임영주 Im Youngzoo

임영주 Im Youngzoo 임영주 Youngzoo Im 밑_밤 물 돌 Oil on canvas 45×38cm 2016임영주 Youngzoo Im 밑_밤 물 돌 산 Oil on canvas 45×53cm 2016임영주 Youngzoo Im 밑_1_2 Oil on canvas 45×38cm 2016임영주 Youngzoo Im 밑_2_1 Oil on canvas 45×53cm 2016임영주 Youngzoo Im 밑 o Oil on canvas 45×45cm 2016 이전 다음 CV Im Youngzoo(Kor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