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의 이면 The Other Side of Landscape

Nov 7, 2014 – Dec 5, 2014

Kangwon Lee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드러내는 ‘풍경조각’

‘풍경조각(Landscape Sculpture)’이라는 다소 생소한 단어로 시작해보자. 사람이 바라본 자연의 모습이나 특정한 정경 및 상황을 가리키는 ‘풍경’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조각이 아닌 회화(사진)와 짝을 이룬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풍경을 재현하기에 적합한 매체는 시각을 중심으로 한 평면적 이미지로서의 회화(사진)지, 시각보다는 촉각이, 이미지보다는 물질이 우선시되는 입체적 형태로서의 조각은 아닌 것이다. 그러나 조각가 이강원은 자신의 작업 전반을 가리켜 ‘풍경조각’이라 칭한다. 그렇다면 그가 말하는 풍경조각이란 무엇이며 왜 풍경화(풍경사진)가 아닌 풍경조각인가? 그리고 풍경조각을 통해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글은 그 의미와 이유를 밝히는 과정에 소요될 것이며 그것이 곧 작가 이강원의 작업세계에 관한 해석과 조명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예술의 전통 장르로서 풍경화(풍경사진)를 논할 때 풍경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에 따라 조직된 하나의 평면적 이미지를 의미한다. 즉 일정한 시점에서 본 공간과 그 속의 대상들을 멀고 가까움에 따라 하나의 평면에 재현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풍경을 대할 때 우리는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한 곳에 멈춰서 눈앞의 장면을 한 장의 시각적 이미지로서 각인하지 않는다. 몸을 움직여 이곳저곳을 살피고 가까운 사물들을 만져보거나 공기의 냄새를 맡아 그곳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느끼고, 그렇게 받아들인 풍경을 저마다의 기억으로 다르게 간직한다. 다시 말해 장르의 문법이 아닌 실질적인 풍경은 시각에 의존한 평면적 이미지가 아닌 전(全) 감각에 의한 입체적 기억인 셈이다. 이강원이 조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풍경은 이러한 의미에서의 풍경이다. 그리고 풍경을 조각화하는 데 있어 그만의 고유한 방식이 존재한다. 자신이 기억하는 특정한 풍경의 부분들을 대개 손으로 만들 수 있는 크기로 형상화하고, 그러한 풍경의 파편을 재조합하여 다시금 새로운 하나의 풍경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풍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각들(pieces/sculptures)’은 경우에 따라 특정한 형상을 그대로 본뜬 것이기도 하고, 작가의 상상에 따라 빚어진 형상이기도 하며, 그저 전체적인 형태를 이루는 비정형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모두는 각각의 개별 조각으로서 형태적 완결성과 물질성을 지니는 동시에, 한 데 모이면 물질 덩어리들의 집합이자 하나의 이미지로서 새로운 풍경이 된다. 이것이 이미지를 물질적으로 재해석하는 작가의 고유한 ‘풍경조각’이다.

‘풍경조각’이라는 특이한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실질적인 제작 방식에 있어 작가는 조각이 지닌 매체적 본성을 고수한다. 조각을 ‘구르기’와 ‘흐르기’라는 자연현상에 빗대어 설명하는 작가의 비유는 꽤 흥미롭다. 단단한 재료를 깎고 새기는 ‘조각’이 바위 덩어리가 구르면서 둥글고 작아지는 과정과 같다면, 무른 재료를 빚고 덧붙이는 ‘소조’와 그렇게 만든 형틀에 액체 상태의 물질을 부어 굳히는 ‘주조’는 각각 흐르는 물의 힘으로 진흙이 퇴적되고 뜨거운 용암이 지표를 따라 흐르며 굳어져 가는 과정과 같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처럼 구르고 흐르는 자연스러운 원리에 자신의 손을 맡기어 작품을 만들어 왔다. 전작(前作)들이 그 여정을 여실히 보여준다. 먼저 ‘가공고무(rubber sponge)’를 깎아서 만든 작가의 여러 사적인 물건들을 전시장 바닥에 배치하고 제작과정에서 나온 검은 고무가루로 각 사물의 그림자를 드로잉 하여 전체 풍경을 만들었던 <선라이즈-선셋(Sunrise-Sunset)>(2005)은 작가의 대표적 ‘구르기’ 작업이다. 작가의 방 안 풍경이 그 안에 놓여있던 기억 속 물건들로 조각되어 각각의 그림자와 함께 전시장에 재배치됨으로써 또 다른 새로운 풍경으로 전환된 것이다. 그것은 밝은 빛이 한 쪽에서 들어와 어두운 공간을 비칠 때처럼 사물들은 한 방향으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지만, 실제로 전시장 공간은 매우 밝고 사물과 그림자는 모두 검은색인 비현실적인 풍경이었다. 게다가 이 빛과 어두움이 공존하는 풍경에서 그림자는 사물이 만들어낸 이미지인 동시에 작가가 만들어놓은 실질적인 물질이라는 사실이 풍경의 역설을 배가시켰다. 한편 좀 더 잘 알려진 작가의 ‘오일파스텔(oil pastel)’ 작업은 ‘흐르기’를 대변한다. 소조와 주조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작가의 ‘흐르기’ 작업은 특정한 색의 오일파스텔(흔히 말하는 크레파스)을 열로 녹인 후 미리 만들어 놓은 형틀에 부어 굳힌 여러 다른 모양의 조각들을 좌대 위에 늘어놓음으로써 새로운 단색의 풍경을 만든 것이다(오일파스텔에 있는 원 안료의 색으로 인해 채색의 과정 없이도 색을 지닌 조각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 이 작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스카이라인(Skyline)>(2005)이나 <숲(Forest)>(2006)과 같은 작품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그것은 전체적인 윤곽이 강조된 수평의 풍경 이미지이지만, 전체 풍경을 구성하는 개별 조각들은 유물의 파편이나 미사일과 같이 뜻밖의 인공물(artifact)을 나타내는 물질 덩어리들이기도 하다. 결국 사람이 만들어낸 인위적인 것들로 채워진 세계를 자연의 풍경으로 비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강원의 ‘풍경조각’이 지닌 이러한 특징적인 면모들은 전작부터 근작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풍경의 이면(The Other Side of Landscape)>이라는 제목으로 선보이는 이번 개인전 작업들은 큰 틀에서는 이러한 일관성을 유지하되, 작가가 만들어낸 풍경이 한층 깊고 넓어졌다는 점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 소조와 주조 중심의 ‘흐르기’ 작업들에 집중하면서도 여러 면에서 기존 작업과의 역치와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세계의 외연과 함의를 확장한 것이다. <숲(Forest)>(2014), <대지(Land)>(2014), <물(Water)>(2013) 등의 대표작들은 일단 제목과 전체적인 풍경 이미지에서는 포괄적인 의미의 자연을 연상시키지만, 풍경을 구성하는 개별조각들의 형상은 우리가 흔히 주변의 일상 속에서 접하는 매우 구체적인 대상을 다루고 있다. 예컨대 <숲>은 덩굴식물의 줄기, 나무, 꽃 등의 모양을 본 따 만든 실내공간의 몰딩장식이나 벽지의 무늬를 형상화한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 역시 바위, 자갈, 모래 등의 형태를 본 따 만든 벽지나 마루, 타일 등의 인테리어 자재를 작가의 다양한 시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작가는 살던 집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나온 건축 폐기물들로부터, 우리의 주거공간을 구성하는 상당수의 재료들이 자연처럼 보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제작된 것들이라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다고 한다. 삭막한 도시 환경에서 주거공간에 작은 정원을 만들고 실내장식에마저 자연을 본 딴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풍경을 실내로 들이려는 사람들의 처절한 시도를 거꾸로 뒤집어, 그러한 실내 풍경의 파편들로부터 숲이나 대지와 같은 자연 풍경을 만들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그것은 현실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어쩌면 위로일지 모른다. <물> 역시 더 깨끗하고 맑은 물로 보이도록 생수병이나 유리컵에 새겨진 결정(結晶) 모양을 비롯해 물을 상징하는 인위적인 형상들을 여러 조각들로 만들어 또 다른 하나의 풍경이미지를 만든 작품이다.

이러한 일련의 작품들은 각각 숲, 대지, 물을 떠올릴 수 있는 초록색, 황토색, 흰색 계열의 단색 풍경을 구성한다(전작인 오일파스텔 작업과 달리 채색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것은 전체 풍경의 윤곽과 개별 조각들의 형태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실내 풍경의 파편들로 만든 작가의 새로운 풍경이 전체적으로 자연으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인공과 자연 사이의 모호함을 배가시킨다. 한편 소조와 주조라는 제작 기법은 그대로 유지하되 (가공고무나 오일파스텔과 같이 조각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가벼운 재료를 사용한) 전작과 달리 브론즈,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레진 등 전통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실제로는 지극히 가벼운 대상들을 역으로 묵직함이 느껴지는 조각 작품으로 전치시켰다. 실제 스티로폼 조각들을 한 데 쌓아 레진으로 주조한 <복원된 섬(Restored Island)>(2012)이라는 작품에서는 이러한 가벼움과 무거움, 덧없음과 영원함의 모순적 공존이 미학적 희열로 느껴질 만큼 극에 달한다. 이렇듯 작가의 근작에서 시도된 풍경들은 단순히 자연의 경치나 개인적인 공간에 그치지 않고 지금 이곳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환경에 대한 관찰과 비판으로까지 확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주제에 부합하도록 형식적인 측면 역시 탄력적으로 변모하였다.

오늘날 전통적인 예술매체로서 조각은 회화만큼이나 새로운 시도를 지속하기 쉽지 않다. 매체와 형식에 천착하자니 모더니즘의 굴레를 벗어나기 어렵고, 소재와 주제를 확장하자니 매체적 속성이 발목을 잡는다. 이강원은 이처럼 쉽지 않은 조각의 길을 비교적 현명하게 헤쳐 나가고 있다. 가장 강력한 무기는 매체에 대한 기본기와 상반된 것들 사이에서의 균형감이다. 그의 작업 전반에는 수없이 많은 이질적인 것들이 묘한 긴장을 이루며 공존한다. 그의 작품들은 물성이 강한 조각인 동시에 이미지로서 풍경이며, 그런 이유로 시각적인 동시에 촉각적이다. 또 부분이 모여 전체를 이루지만 각각의 부분들도 독립적으로 완결성을 지니며, 그러한 개별적인 조각과 전체적인 풍경의 이미지는 구상과 추상, 실제와 상상, 재현과 표현을 넘나든다. 또한 일상적인 재료로 조형성이 강한 비정형의 풍경을 만들었다가, 전통적인 조각 재료로 일상의 파편들로 이루어진 구체적인 풍경을 만드는 식으로 일상과 예술을 사이에 두고 재료와 소재가 유동적으로 전치되기도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것들이 ‘구르기’와 ‘흐르기’라는 조각의 본질에 충실한 그의 손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고수하며 그가 궁극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란 인간이 만든 것과 자연 그대로의 것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관계들로 이루어지며 예술은 결국 그러한 인간과 세계 사이의 상호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는 일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강원의 ‘풍경조각’은 이러한 예술적 성찰의 과정이자 결과로서 여전히 새롭게 갱신되고 지속되고 있다.

신혜영 | 미술비평

The ‘Landscape Sculpture’ that Expresses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ature

Let’s begin with this somewhat unfamiliar phrase – ‘landscape sculpture.’ The word, ‘landscape,’ which refers to the natural features viewed by men or certain sceneries and situations, usually makes a pair with paintings (photos) not sculptures. In other words, the appropriate medium to recreate a scenery is generally a visually-centered painting (photo) as two-dimensional image, not a three-dimensional form of sculpture which values sense of touch more than vision, and material more than image. Sculptor Kangwon Lee, however, calls his entire works ‘landscape sculpture.’ Then, what is the landscape that he refers to and why is it landscape sculpture not landscape painting (photo)? Also what is he trying to show through his landscape sculpture? This article will find out the meaning and reason which will be the interpretation and demonstration of this artist’s art world.

When it comes to landscape painting (landscape photography) being as one of the traditional genres of visual art, generally a landscape refers to a single two-dimensional image formed by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That is, space and objects in the space viewed from a certain distance are recreated on a single plane according to the distance – whether near or far. However, when we face an actual landscape, we don’t stop at one spot and don’t perceive the view before our eyes as a piece of visual image like when we take a picture or draw a painting of a landscape. Rather, we move ourselves to look around, touch objects nearby and smell the air to feel the whole atmosphere and the scenery perceived in this way is remembered as different memories depending on the person. That is, the actual landscape, not the grammar of a genre, is a three-dimensional memory remembered by the whole senses not a two-dimensional image visually dependent. The landscape that Kangwon Lee demonstrates is the landscape in this sense. And he sculpts landscapes in his own way; he gives shapes to certain parts of the landscape that he remembers – usually in sizes as small as he can make with his hands and he combines these pieces of the landscape to create another new landscape. The pieces or sculptures that form the landscape are sometimes patterned after the actual shapes, or from his imagination or sometimes just atypical elements that form the whole shape. However, these are independent pieces that have completion and materiality as a shape and become a new landscape as a gathering of a mass of materials and also a single image when they are combined. This is the artist’s unique ‘landscape’ which reinterprets images as objects.

In contrast to the particular concept ‘landscape sculpture,’ the artist holds on to the sculpture’s essence as a medium when he practically produces sculptures. The comparison that he makes as he explains the sculpture to natural phenomena ‘rolling’ and ‘flowing’ is quite interesting. While the ‘sculpture’ made through cutting out solid materials is like the way that a rock rolls and becomes more round and smaller, ‘modeling’ which is shaping and adding soft materials and ‘casting’ which is pouring and hardening liquid materials into a frame made by modeling are like mud being deposited by running water and the hot lava flowing and getting solidified along the face of the earth respectively. The artist has entrusted his hands to these natural principles of rolling and flowing to create his art works. His previous works well show this journey; <Sunrise-Sunset>(2005), which was presented by arranging the artist’s various personal objects made by carving rubber sponge on the floor of the exhibition room and drawing their shadows with the use of dark rubber powders left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o complete the entire landscape, is one of his representative ‘rolling’ works. The views inside his room were sculpted into objects of his memories and then were re-arranged in the exhibition hall with shadows and became a completely new landscape. Although the objects were casting their shadows in the same direction like a bright light comes from one direction and shines over a dark space, the exhibition area was actually very bright and the objects and shadows were all dark, making unrealistic scenery. In addition, in this scenery in which light and darkness coexist, the shadows are an image created by the objects and the practical materials made by the artist at the same time – this has deepened the paradox of the scene. Meanwhile, his well-known ‘oil pastel’ work represents the ‘flowing.’ His ‘flowing’ work completed by the processes of molding and casting produces a new solid-color scenery by melting oil pastel (commonly, crayons) of a particular color by heat and pouring it into frames made beforehand and solidifying them and arranging these pieces of different shapes on a pedestal. (It is one of this work’s characteristics that the color of the original pigment of the oil pastel is used to complete a colored sculpture without the process of coloring.) Like the titles <Skyline>(2005) or <Forest>(2006) reflects, it is an image of a horizontal scenery with its overall outlines accented and yet each piece that forms the entire landscape is also a lump of materials that represent unexpected artifacts like a fragment of relics or missiles. Eventually the world filled with artificial objects made by men is being compared to the landscape of the nature.

These characteristic aspects of Kangwon Lee’s ‘landscape sculpture’ have consistently been applied from his previous to recent works. In his personal works which will be exhibited under the title of <The Reverse Side of Landscape>, he keeps this consistency and yet shows considerable changes for the landscapes that he has created are way more profound and wider. To be more specific, he concentrated on the ‘flowing’ work which focuses on molding and casting and yet he, in many ways, tries to make thresholds and changes compared to his previous works and has extended the range and implication of the overall world of his works. His representative works including <Forest>(2014), <Land>(2014), and <Water>(2013) remind one of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nature because of their titles and overall images of sceneries whereas the shapes of each piece that complete the landscape are the specific objects that we see in our everyday lives.

For example, the <Forest> comprises the molding decorations for indoor space patterned after the stem of climbing plants, trees, flowers, etc. and pieces made in shapes of the patterns of wallpaper. The <Land>, as well, is formed by the various shapes of interior materials such as wallpaper, floor, and tiles that are patterned after rocks, pebbles, and sand through the artist’s diverse views. He stated that from the construction waste produced while demolishing his house, he came to learn the fact that many of the materials that comprise our living space are created artificially to make them look like nature. He intends to reverse the desperate attempts of people in this dreary city atmosphere who create a natural scenery inside their homes by making a small garden in their living space and

interior decorations using finishing materials that are patterned after the nature so that he can show the natural landscapes such as woods and land from the pieces of such indoor scenery. That may be a criticism toward the reality and could be consolation at the same time. Also the <Water> creates another new image of a landscape by making a number of pieces in artificial shapes that symbolize water including the crystal shapes on the water bottle or drinking glass bottle that makes the water look cleaner and clearer.

This series of works comprise solid-color landscape with green, red-brown, and white colors that can remind one of woods, land, and water respectively. (Unlike the oil pastel work for his previous works, he used a coloring technique this time.) This helps focus on the overall outline of the landscape as well as it helps recognize the new landscape created by the pieces of the indoor scenery as if it were the nature as a whole, intensifying the ambiguousness between artificiality and nature. He kept his production methods – molding and casting – while he also used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bronze, stainless steel, aluminum, and resin unlike his previous works (in which he used light materials that are not common in sculpture such as rubber sponge and oil pastel) and this turned the objects that are actually light into works of sculpture that give a feeling of massiveness. In the art work <Restored Island>(2012) in which actual Styrofoam were piled up and molded by resin, the contradictory co-existence of this lightness and massiveness and meaninglessness and eternity is maximized as much as it feels like aesthetic ecstasy. In this way, the landscapes presented in his recent works went beyond a simple view of the nature or a personal space but have expanded to the observation and criticism toward the practical environment with which anyone who lives in this world can agree. Moreover, the formal aspects have also flexibly changed to meet such objective.

Today, it is difficult for sculpture – being as a traditional artistic medium – to make new efforts unlike paintings. If focusing on the medium and style, it would be difficult to go free from modernism and, if the materials and subject are extended, the aspect of being a media would be an obstacle. Kangwon Lee, however, is proceeding with his life of sculpture in a quite wise way. His most powerful weapons are the fundamentals toward the media and keeping a balance between opposites. In most of his works, countless things that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coexist under some strange tension. His art works are sculptures with strong properties of matter and landscapes as images at the same time. For this reason, they are visual and also tactile. And small parts form the entire work and yet each part has its own completion and all these independent pieces and the whole image of landscape go from conception to abstraction, from reality to imagination, and from reproduction to expression. And he sometimes switches materials and subjects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 he creates atypical sceneries that have an intensive formativeness using materials from everyday life and makes specific sceneries formed by pieces of everyday life using traditional sculpture materials. The important thing, however, is that all this comes from his hands that are faithful to the essence of sculpture – ‘rolling’ and ‘flowing.’ And what he ultimately wishes to show by adhering to these methods is the fact that the world surrounding us is realized by diverse relations that take place between things that are man-made and natural as they are and arts is a work to show the interrelations between men and the world in various ways. Kangwon Lee’s ‘landscape sculpture’ is a process and also the result of such artistic contemplation and is still getting renewed and moving on.

Hyeyoung Shin | Art Critic

Relative Artist

이강원 Lee Kangwon

이강원 Lee Kangwon 이강원 Lee Kangwon풀잎 2019 레진,우레탄페인트 45.5×39.5×5.5cm이강원 Lee Kangwon풀잎 2019 레진,우레탄페인트 46x39x5.5cm이강원 Lee Kangwon풀잎 2019 레진,우레탄페인트 43x38x9.5cm이강원 Lee Kangwon잔해 2020 레진,우레탄페인트 140.5x135x17cm이강원 Lee Kangwon잔해 2020 레진,우레탄페인트 30.5×33.5x9cm이강원 Lee Kangwon분출 2018 레진,우레탄페인트 36.5×36.5x43cm이강원 Lee Kangwon부서진 잎 2020 레진,우레탄페인트 112×98.5x13cm이강원 Lee Kangwon부서진 잎 2020 레진,우레탄페인트 109×111.5×13.5cm이강원 Lee Kangwon부서진 잎 2020 레진,우레탄페인트 45×52.5x8cm이강원 Lee Kangwon부서진 잎 …

2F 14 Apgujeong -ro 71-gil, Gangnam-gu, Seoul, Korea, 06010